사직서 2

사직서 제출, 언제 해야 할까?

퇴사하고 싶습니다. 내일 퇴사한다고 말해도 될까요?사직서를 제출했는데 사장님께서 안된다고합니다. 언제까지 근무해야 하나요?   많은 분들이 퇴직통보 시기나 절차에 대하여 질문을 주십니다. 오늘은 근로자가 사직을 하려할때 통보시기 및 유의할 점에 대하여 포스팅합니다. 기간의 약정이 없는 고용의 해지통고  근로기준법 제26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를 포함한다)하려면 적어도 30일 전에 예고를 하여야 하고, 30일 전에 예고를 하지 아니하였을 때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습니다. 반면 근로기준법에는 근로자가 사직하고자할 때 언제까지 해야한다는 규정이 없습니다. 따라서 근로자가 고용관계를 해지하고자 통지하는 경우 민법의 규정을 적용받습니다. ..

사직권고에 대처하는 방법

" 회사에서 사직을 권유합니다. 저는 계속 일하고 싶은데 어떡해야하나요?"  수많은 직장인 분들께서 문의해오시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회사에서 사직을 권고하는데, 이에 따라야만 하는 걸까요? 계속 일하고 싶은데 어떻게 대응해야할지 몰라서 문의를 주십니다.    권고사직이란?  근로관계가 종료되는 방식에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자동종료 : 계약기간 만료, 당사자 소멸(사망 등), 정년의 도달 2. 합의해지 : 양 당사자간 합의로 종료3. 일방통보 :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경우는 '해고'에 해당하며, 근로자가 일방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하는 경우도 이에 해당합니다. 이 중 권고사직은 2번째 유형인 '양 당사자 간 합의'에 의해 근로관계가 종료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사직을 권고하면 근로자가 이에 ..